종로산책

옛 사진 그대로 다시 찍기 - 동십자각 1부 본문

궁궐및주변

옛 사진 그대로 다시 찍기 - 동십자각 1부

작동미학 2020. 7. 24. 00:37

전편에 이야기했듯이 우리가 가진 궁궐의 건물 중에 지금껏 원래 지어진 그대로(누각은 제외하고 석조 망루만이지만) 그 위치에서 보존된 것이 바로 이 동십자각이다(전편에서 밝힌대로 궁내에는 경회루와 근정전이 있다.). 석조이기 때문에 원형을 더 잘 보존할 수 있었고,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이후의 세월이 흔적을 모두 지니며 와서 더 특별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지붕을 빼고는 모두 온전히 그당시 그대로이다. 재현사진을 찍으며 이점이 이 망루의 가치를 크게 확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우선 일제 강점기나 조선시대로 가기 전에, 6.25 전쟁 후 촬영으로 생각되는 동십자각을 먼저 보자.

6.25 전쟁 이후로 보이는 사진과 현대 사진 비교

 

 각 돌의 색 등 석조 망루가 옛 그대로임을 알 수 있다. 촬영장소가 현재의 도로 위치인점 등 조율이 힘들어 60mm로 찍었는데, 50mm로 찍으면 더 잘 맞으리라 생각된다. 지금은 더 거뭇해진 동그란 부서진 자국은 총탄의 흔적이다.(몇몇 다큐멘터리에서 다뤄진 적이 있다) 상단의 기와는 낡아 보이는데, 지금은 새 것으로 교체되어 있다. 그러나 신기한 것은 지붕말고 그 아래 목조 기둥이나 그 주변부는 선이 사실은 하나도 변하지 않아서 과거 그대로이다. 즉 지금의 지붕의 기와부분만 보수되었고 아래 기둥과 처마의 하단부가 그대로이다(망루 기둥의 빈공간의 변화로 촬영 위치를 정확하게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이것도 편집과정에서 깨닫게 되었다.) 또한 동십자각 주위의 지반이 지금이 좀더 높아졌음도 알 수 있다.

 

 뒷 배경에는 구 조선총독부 건물이 보이고, 궁장대신 낮은 벽이 설치되어 있고, 훌쩍 커져버린 과거와 현재의 나무를 비교해서 구경할 수도 있다. 또하나 반가운 것은  바로 사라진 삼청동천(중학천)이다. 6.25직후에도 남아있던, 저렇게 동십자각 옆으로 북악산에서 흘러나온 하천이 흐르고 있었다. 이 하천은 미국 대사관 뒷편을 지나 현재 KT 빌딩과 D타워, 교보문고 빌딩 근처에 일부가 복원되어 있다. 원래는 청계천까지 이어진 하천이다.

 

 동십자각은 이 시절에도 궁장과 연결되어 있지 않았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쳐오면서 궁궐과 분리되었다. 광화문의 서쪽에 있던 망루인 서십자각은 전차의 길에 방해가 된다고 아예 허물렸고(1923년), 이 동십자각도 도로 확장을 위해 위 사진과 같이 궁장(궁궐담)이 허물리고 잘려버리고 말았다(1929년).  따라서 현대의 궁장은 경복궁의 동문인 건춘문과의 연결도 어색하게 되어 버렸다.

 

 이제 일제 강점기 사진과 비교해보자. 재차 확인되겠지만, 본격적으로 보기 전에 한국전쟁 직후 바로 전 윗 사진과도 비교해보면 목조 누각이 아래 일제강점기 누각과 같다(처마 아래와 빈틈의 모양이 변함이 없다). 그리고 앞서 밝혔듯이 누각 기와의 하단부 기둥의 선들은 일제 강점기나 지금이나 선이 일치한다. 그 사실이 새삼 반가웠다. 동십자각은 누각의 지붕 기와부분만 교체되었다.

 

동십자각, 안국역 방면의 사진, 일제강점기 사진과 비교, 과거 촬영 각도가 다소 위에 있다. 큰 사다리를 놓고 찍은 느낌이다

 

 다시 바로 윗사진을 보자. 완전히 다른 거리가 펼쳐진 옛날을 이렇게 재현할 수 있었다. 안국역쪽으로 가는 길의 풍경이 완전히 다른데, 과거의 길이 지금의 도로에 비해 훨씬 좁았다. 뒷편에 위치한 과거의 기와집들이나 전봇대가 현재의 어디에 있었는지 상당한 정확도로 짐작해볼 수 있다. 동십자각에서 일부 존재하던 궁장도 현대는 완전히 해체되어 망루만 남아있다. 신기한 것은 망루의 작은문(망루입구) 오른쪽에 작은 머리모양의 장식이 지금은 약간 오른쪽으로 옮겨졌다는 사실이다. 아마 일제 강점기 시절 동십자각과 궁궐사이 도로가 생기면서 남은 궁장이 해체될 시점에 동십자각의 궁장과 연결된 일부가 변형된 것이라 추정된다. 누각의 잡상들이 복원과정에서 바라보는 각도가 조금씩 변한것도 확인할 수 있다. 동십자각을 오르던 계단도 사라졌다. 나머지는 옛날과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다른 각도의 사진도 하나 살펴보자. 역시 몇가지 철거 부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동십자각

 

 

 아래는 동십자각 멀리 뒤로 건춘문과 광화문(조선총독부 건물 신축이후 현재 민속박물관 정문자리로 옮겨졌다.)이 보이는 사진과 현재의 사진이다. 현대의 촬영 방향이 과거보다 약간 더 낮았음을 감안해도 과거 누각 지붕이 약간 더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현대의 촬영 위치를 조금 높였더라면 역시 처마 하단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동십자각의 벽면이 잘 일치하고, 과거의 낮은 지반이 관측된다. 궁장의 변화도 보인다.

 

 위에서 이야기한 중학천과 현재 길이 어떻게 겹치는지도 이 사진으로 알 수 있다. 과거 사라진 궁장의 나머지 부분이 어떻게 뻗어나갔었는지도 확인이 된다. 동십자각 주위 지대가 점점 올라왔음도 다시 한번 눈에 띈다. (계속 반복되는 사진을 비교해보면 땅이 아래에서 툭 튀어나오거나 꺼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동십자각 우측 하단은 사람크기를 감안해볼때 거의 1m 가까이 지반이 낮다. 참고로 동십자각은 이 지반이 낮을수록 더 오래된 사진이다.) 동십자각에서 지금의 광화문쪽으로 연결된 짧은 궁장벽마저도 돌의 크기나 이음새가 맞지 않은 것으로 봐서는 과거 조선시대의 궁장벽이 아님을 알 수도 있다. 아까의 지적과 마찬가지로 도로가 신설될때 이 부분은 상당히 변형되었다(그런데 다른 사진에서 보면 그 바로 반대쪽 편은 또 유지되었다). 맨 처음의 한국전쟁 직후 사진과 비교해보면, 일제강점기에서 한국전쟁 이전 어디선가 다시 만들어진것임을 알 수 있다.

 

다른 각도의 사진을 한번 더 보자. 위와 비슷한 과거 시기의 다른 각도 사진이다.

 

일제강점기 사진, 다른각도 비교

 

 상기 과거 사진에는 지금에 보이는 총탄의 흔적같은 것이 없다는 것을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땅 아래에 묻혀서 보이지 않았던 석조망루 하단부의, 망루 밖으로 튀어나온 받침돌이 보인다. 중학천의 옆 벽도 같이 볼 수 있다. (지금도 저 위치의 땅을 파보면 저 석벽이 남아있지 않을까) 지금은 높다란 뒷 나무들은, 당시에는 아예 보이지 않는다. 원래 있던 과거 사진의 오른편 궁장은 현재는 뒤 저 멀리 보인다. 누각 왼쪽의 잡상은 그때 당시가 지금보다 개수가 많았다. 역시 누각의 목조 기둥 선은 지금이나 그때나 완전히 일치하고, 지붕 부분만 변화했다.

 

 아래는 광화문쪽을 바라본 사진을 재현했다. 광화문쪽이라니! 사진의 상태가 좋아서 광화문 누각의 어느 부분이 현대에 달라졌는지 자세히 알 수 있다. 처마 밑을 자세히 보면 변한 지점이 보인다. 나머지 기둥은 색만 다시 칠해졌다. 중학천과 다리의 위치도 잘 파악할 수 있지만, 더 소중한 것은 광화문의 위치다. 사실 전에 광화문의 위치가 정확하다고 판정한 적이 있어서, 이 사진을 조금더 자세히 대사해 보았으나 다행히 약간 비뚫어진 화각차이로 보인다. 향후 봄이나 겨울에 산 능선이 드러날때 다시 한번 찍어 검증해봐야겠다. 나무때문에 광화문이 잘 보이지 않는다.

 

광화문과 동십자각이 동시에 보이는 사진이다. 다른사진보다 지반이 더 낮다. 1904년 사진으로 알려져있다

약간 틀어져 보이는 광화문의 위치가 사실 같은 위치일 수도 있는 분석 그림

 

위 비교 사진에서는 동십자각에서 광화문쪽으로의 확장된 궁장을 선을 이어서 그 길이 비율을 따져보면, 그 높이와 위치가 거의 같다. 그리고 경복궁의 동십자각쪽 방향 궁장은 과거와 흡사한 방향과 높이로 복원된 것이다. 궁장 상단에 대해 두 사진의 그은 높이 선이 상호 동일한 지점의 동십자각을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