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봄꽃 (7)
종로산책

이팝나무는 인왕산이나 안산에 가끔 심어져 볼 수 있는 나무이다. 조팝나무와 이름이 비슷한데, 5월이 되면 긴 꽃잎을 가진 다른 나무에서는 보기 어려운 형태의 꽃이 핀다. 이팝나무는 옆으로 큰 줄기가 갈라져 나가면, 태풍이 불때 결을 따라 쉽게 떨어져 날아나가서 바람이 심하게 불때는 조심해야 한다고 한다. 아래는 비온날 찍은 고들빼기다 신기하게 비가오면 이렇게 꽃이 닫힌 채로도 종종 볼 수 있다. 여름내내 노랑선씀바귀와 같이 보이는 이 풀은 줄기를 휘감은 그 특이한 잎이 특징이고, 꽃은 작고 노란색으로 어디서든 눈에 띈다. 고들빼기 꽃은 익으면(?) 민들레 씨처럼 솜털이 보인다. 인왕산의 꽃들은 이렇게 민들레처럼 최후에는 솜털의 씨앗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다. 고들빼기도 한번에 자라나서 핀다기 보다는..

3월부터 4월, 5월까지 매주 인왕산에는 다양한 변화가 일어난다. 큰개불알풀, 매화로 시작된 3월의 봄꽃은 4월초 벚꽃과 개나리로 한참 빛나고, 4월말 정도가 되면 5월에 주로 피는 꽃들도 조금씩 볼 수 있다. 꽃이나 나무마다 상황은 다양해서, 미리 피어서 계속되는 꽃들도 있고, 한때만 피어난 후 1~2주도 못가고 지는 꽃 등 현란하다. 아래는 붉은병꽃나무다. 5월에 핀다는데 벌써 피었다. 전국의 산지에서 볼 수 있다. 이 시기 인왕산 곳곳에서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5월 중순이면 많이 진다. 먼저 소개했던 각시붓꽃은 4월말이 되니 더 많이 피었다. 꽃에 대한 설명은 봄꽃 설명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고들빼기 꽃은 이제 점점더 많이 핀다. 쌉쌀한 맛의 고들빼기 김치가 생각나는 이 풀은 아직도 피지..

이번에는 열매가 여는 대표적인 꽃나무들을 다루어 보자. 봄, 여름, 가을이 되면 산에는 다양한 열매들이 열리는데, 어느정도 경험있는 사람이 아니면 매화, 벚꽃, 복사꽃, 산딸기꽃, 앵도나무꽃 등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이 열매들은 사실 봄부터 시작된 꽃으로 부터 설명될 수 있는데, 인왕산에 있는 이 대표 열매 나무들을 살펴보자. 먼저 가장 먼저 피는 매화다. 매화는 매실나무의 꽃이다. 다만 매실나무꽃이라 부르지 않고 그냥 매화라 부른다. 매화도 종류가 있어서 흔한 백매화와 꽃받침이 청색인 청매화, 그리고 잎이 빨간색인 홍매화가 있다. 인왕산의 매화는 백매화가 주를 이룬다(사실은 다른 매화를 본적은 없다) 이 매화는 잘 모르는 사람은 처음에 벚꽃과 헷갈리는데, 자세히 보면 벚꽃과 달리 꽃자루가 없다. 즉,..

주로 지금까지는 바닥에서(?) 자라는 꽃들을 위주로 소개했다고 하면, 역시 인왕산 봄꽃의 왕은 개나리, 진달래, 벚꽃, 산수유겠다. 무악재 하늘다리에서 해골바위로 올라가는 길 근처에 조성된 개나리와 벚꽃 그리고 여기저기 역시 조성된 산수유와 벚꽃길은 봄 나들이객을 제대로 맞아주는 녀석들이다. 개인적으로 4월초의 개나리/벚꽃, 5월의 아까시나무꽃, 10월의 단풍놀이, 겨울 설산이 인왕산의 제일 풍류가 아닌가 싶다. 벚꽃은 안산의 서대문구청쪽도 유명하나, 인왕산에서도 여기저기 즐길 수 있는 곳이 있다. 다만, 구태여 꼽으라면 인왕산은 개나리와 벚꽃이 같이 필 때가 더 좋다. 우선, 무악재 하늘다리에서 해골바위 올라가는 곳에 위치한 산수유 길을 먼저 살펴보자. 이 길에 개나리/진달래/벚꽃 등이 피면서 4월초의..

각시 붓꽃은 인왕산에서 흔하게 보는 꽃은 아닌데, 특정 지역이 4월 중/하순에 많이 보인다. 멀리서보면 제비꽃과 헷갈릴 수 있는데 가까이 가보면 그 화려한 모양을 관찰하게 된다.(유심히 보면 멀리서도 조금 더 큰 꽃잎이 눈의 띈다) 인왕산의 꽃 중에서는 광대나물의 꽃을 확대한 정도의 화려함이고, 꽃의 크기로 보면 단연 순위권 안에 들겠다. 다만, 각시붓꽃 풀의 전체 크기 자체는 키가 한뼘을 넘지 못한다고 한다. 그래서 어여쁘고 귀여운 '각시'라는 이름을 붙였다. 봄 야생화들은 어찌보면 모두 일찍 시작하는 대신 자그마하게 시작하는게 이 분야 관례라고나 할까. 돌단풍도 인왕산 근처 여기저기 가끔씩 볼 수 있는 꽃인데, 잎을 보면 단풍이라는 말이 붙은 이유가 끄덕여 지기도 한다. 원래는 물가의 바위틈에서 자란..

인왕산에는 제비꽃이 많다. 강한 생명력으로 번식도 잘하고, 몇군데는 구청에서 환경 정비 사업으로 일부러 심은 곳도 있는 것 같다(성곽길 포장된 산책길 주변으로 나란히 심어져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다섯개의 꽃잎에 약간 목이 꺽인 모습으로 주로 보라색 꽃이 달린 모습이다. 그리고 그 꽃 뒤로 길쭉한 모양이 하나 튀어나와있는데 꿀이 들어있다고 한다. 필자가 관찰한 인왕산의 제비꽃은 3가지(서울제비꽃, 미국제비꽃, 남산제비꽃, 흰제비꽃)이다. 사실 전문가는 아니므로 구별이 틀릴 수도 있겠다. 제비꽃을 볼때는 꽃줄기에 털이 있는지 없는지나 색깔, 그리고 꽃 안쪽 상단에 털이 있는지 등이 보이게 사진을 찍어두면 나중에 잘 아는 분에게 물어볼 수 있다. 인왕산에는 서울제비꽃이 제일 흔하게 보이는데, 이 꽃은 ..

인왕산에서 가장 다양한 꽃을 만날 수 있는 시기가 바로 봄이다. 구청의 정비 사업으로 몇가지 꽃들은 인위적으로 심어지기도 하지만, 제법 많은 수의 봄 꽃, 야생화들이 이 봄날 인왕산의 햇볓 잘 드는 지역에서서면 먼저 만날 수 있다. 긴 겨울을 끝내고, 작지만 고운 자태를 뽐내는 꽃에 좀더 가까이 다가가서 관찰해보면, 따뜻한 기운에 산책의 기쁨이 더해진다. 가장 먼저 소개해보고 싶은 꽃은 역시 큰개불알풀 (봄까치꽃으로 불리기도 한다)이다. 흔히 저렇게 가을낙엽 사이로 솟아오르는, 우리나라 전국에 봄이 오는 소식을 가장 먼저 알리는 귀여운 꽃 중의 대표자다. 특히 성곽아래의 따스한 남향에서 가장 일찍 보이기 때문에 반갑다. 이 꽃의 신기한 점은 먼저 이름이다. 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은 나중에 열매가 개의 불알..